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일산화탄소 중독 증상 및 후유증

by 성공의 정석 2024. 1. 10.
반응형

소방청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심정지 27건을 포함해 총 471건의 일산화탄소 중독 사례가 신고된 것으로 나타나있습니다. 일산화탄소 중독은 무색무취로 형태가 없어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산화탄소 중독 및 증상

일산화탄소 중독은 두통, 호흡곤란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일산화탄소는 폐의 혈액에서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는데, 헤모글로빈이 산소가 아닌 일산화탄소와 결합하기 때문에 신체 세포에 산소 전달이 어려워져 내부 질식 상태가 발생하며 일산화탄소 중독 증상으로는 두통, 구토, 현기증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호흡곤란, 운동실조, 발작,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만약 치료하지 않고 질병이 진행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일산화탄소 중독 후유증

노출 시간이 길고 양이 많으면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이나 신경계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호흡곤란 증상이 없더라도 응급실에서 '동맥산소압검사'를 통해 일산화탄소 수치를 확인하고 환자에게 며칠 동안 산소를 공급해야 하며 일산화탄소 농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압산소치료 등 특별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 종료 후 2~40일 동안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인지 저하, 기억 상실, 안면 근육 운동 장애, 마비, 보행 ​​장애, 행동 상실, 인식 불능 등의 "지연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후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일산화탄소 중독 예방법

1) 보일러 및 난방기구 점검

보일러나 화로의 연통 및 배기구에서 가스가 새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 온도 조절과 연료 절약을 위해 밸브를 절반 미만으로 열면 일산화탄소 중독의 위험이 있습니다.

 

 

2) 밀폐된 공간에서 난방기구 사용 금지

밀폐된 공간에서는 석탄이나 나무를 사용하는 것을 삼가야 합니다. 난방이나 조리 시 연료가 완전히 연소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에서 사용해야 하고 다만 자동차나 텐트 등 밀폐된 공간에서는 히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취침 시에는 침낭과 보온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자동차 히터 주기적 환기

히터를 켠 채 차에서 오랜 시간 자동차에 있어야 한다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모든 창문을 열어 공기가 통하도록 해야 합니다. 텐트 내에서 히터를 사용할 경우, 텐트의 한쪽 면이 완전히 열려야 하며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가스기구를 사용할 경우 산소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일산화탄소 발생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