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풍기
날이 추워지면서 온풍기나 전기히터, 난로등에 관심이 많으실텐데요. 특히 요즘은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다보니 따뜻하게 유지하면서 난방비도 생각해야 하는데요. 가정에서 쓸때는 전기세 누진세도 걱정되고 어떤걸 체크해서 봐야할지도 잘 모르겠어서 구입할때 어려운점이 있죠. 저도 예전에 이마트 온풍기를 구입했는데 소음도 너무 크고 딱히 따뜻하지도 않아서 실망한적이 있습니다. 생활환경이나 사용장소에 따라 알맞은 제품이 있기 마련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온풍기 구입할때 체크해야 할점을 알아보고 포스팅을 해볼께요.
온풍기와 전기히터 차이점
우선 온풍기와 전기히터의 차이점부터 설명드릴께요.
전기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코일등으로 복사열을 만들어 난방하는 방식의 히터를 말합니다. 제품 전원을 켜면 전기가 들어와서 코일이 빨갛게 달궈져서 난방이 됩니다. 가장 대중적이고 종류도 많죠. 열을 직접 쬐는 방식이다보니 예열 시간 없이도 최단 시간에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적정거리 밖으로 나가게 되면 온기를 느끼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로 있는 공간에서 쓸 용도로는 괜찮겠죠. 그리고 보통 전기히터의 소비전력은 300~1000W 내외로 집이나 사무실 책상 바로 옆 등에 두고 쓰기 적합합니다.
그다음 온풍기를 설명드릴게요. 온풍기는 전기히터처럼 코일로 열을 발생시키는건 동일하나 열을 퍼뜨리는 방식이 다릅니다. 선풍기처럼 팬을 돌려 따뜻한 바람을 내보냅니다. 그래서 전기히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먼거리에서도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전기히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단점으로 실내 습도가 건조해 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온풍기를 쓸때는 가습기를 함께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또한 팬을 돌리는 방식이다 보니 소음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조용하게 있어야 하는 공간에는 적합하지 않고 구입시 최소 데시벨을 확인하고 구입하는게 좋습니다.
설명하는김에 라디에이터와 컨벡터도 소개해드릴게요. 라디에이터는 요즘은 가정용도 나오지만 원래는 학교나 회사등 공공장소에서 많이 사용하던 제품이죠. 라디에이터에서 열이 내는 방식은 기기안 철제 내부에 오일등의 액체가 들어있는데 이 액체를 가열해서 철제 표면 온도를 높여서 공기를 순환하는 방식입니다.
마지막으로 컨벡터는 기기 내부의 알루미늄 열선을 가열해서 공기를 순환하는 방식으로 아래쪽의 찬공기가 데워지면 위로 올라가는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난방방식입니다. 라디에이터와 컨벡터는 장단점이 비슷한 제품으로 둘 다 소음이 없고 실내가 많이 건조해 지지 않는 편입니다. 하지만 공간이 따뜻해지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소비전력이 높아서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종합하면 난방속도는 전기히터와 온풍기가 빠르고 난방면적은 전기히터는 근거리, 온풍기는 먼거리도 가능, 라디에이터와 컨벡터는 그 중간쯤입니다. 소음은 온풍기 소음이 크고 나머지는 소음이 적습니다. 화상위험은 아무래도 전기히터가 가장 위험하고 그다음 온풍기, 라디에이터, 컨벡터 순입니다.
온풍기 구입할때 유의할점
그러면 온풍기 구입할때 유의해야 할점을 정리해볼게요. 우선 PTC 세라믹 히팅 제품인지를 살펴보는게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예열도 느리고 따뜻해지지도 않아요. 그러다보니 전기세만 많이 나와서 누진세가 나오게 될수도 있습니다. 저렴한 제품을 사서 누진세 걱정하는것 보다 제대로된 제품을 구입해서 안전하고 따뜻하게 사용하시는게 훨씬 낫습니다. 다음으로는 소음을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온풍기는 위에도 설명드렸듯이 팬을 돌려서 열을 뿜어내는 방식이라서 소음이 있습니다. 구입할때 최소 데시벨을 체크해보고 소음이 최대한 적은 제품으로 구입하시는게 스트레스를 안받으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동온도조절 기능이 있다면 더 좋습니다. 이것또한 누진세 걱정때문인데요. 어느 정도 온도가 올라갔다 싶으면 알아서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야 전기세 걱정없이 따뜻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에 좋은 음식 (0) | 2022.11.09 |
---|---|
저혈압의 종류 및 원인 알아보기 (0) | 2022.11.08 |
월동준비 시작! 단열 뽁뽁이 붙이는 방법 (0) | 2021.12.09 |
아이폰 카카오톡 용량 줄이기 (0) | 2021.11.17 |
주식 증거금이란? 알려드려요. (0) | 2021.11.12 |
댓글